뉴스센터 화공 차형준 교수팀, 구조 전환 DNA 기반의 진단용 ‘맞춤형’ 당(糖)칩 만든다[POSTECH·영남대 공동연구팀, pH 감응형 DNA 링커 활용 복합당칩 개발]당칩(glycan chip)은 고체 표면에 고밀도로 당(糖, glycan)*1을 고정해 암과 같은 질병 발생에 대한 진단 등 당과 관련2021-03-04READ MORE 연구성과 화공 한정우 교수팀, 연료전지 효율 높이는 ‘촉매’의 비밀 밝히다[POSTECH·UNIST 연구팀, 촉매 상 전이 및 엑솔루션 현상 규명]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는 연료전지는 물의 전기분해 역반응을 통해 전기와 열을 동시에 얻는다. 그래서 반응 효율을 높여주는 촉매는 곧 연료전지의 성능과 직결된다. POSTECH-UNIST 연구팀이 원자 단위에서의 엑솔루션 현상과 상전이 현상을 최초로 밝힘으로써 고성능 촉매 개발에 한 걸음 다가섰다.화학공학과 한정2021-03-03READ MORE 연구성과 화학 심지훈 교수팀, ‘훈트금속의 양자결맞음 과정’ 직접 관찰[POSTECH-IBS 연구팀, 강상관계 물질의 금속-절연체 전이 과정에서 훈트 상호작용으로 인한 양자결맞음 과정 직접 관찰]강상관계 물질이란 전자 간의 강한 상호작용으로, 일반적인 도체나 부도체에서 보이지 않는 특이한 현상을 나타내는 물질들을 말한다. 금속-부도체 전이 현상이나 높은 온도에서 저항이 0이 되는 고온초전도 현상이 그 대표적인 예다. 그간 이런 전자의 강한 상호작용 및 이들의2021-03-02READ MORE 대학소식 POSTECH-한림원 ‘제45회 한림국제심포지엄’ 개최[보형형식 주기이론 최신 동향 주제로 수학 최고 영예 ‘필즈상 수상자’ 강연 등]POSTECH 수학연구소가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공동으로 27일~28일 이틀 동안 제45회 한림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한다.‘보형 형식의 주기이론 최신동향’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심포지엄은 수학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필즈 메달 수상자를 비롯한 국내외 정수론 분야의 최고 석학들이 참여해, 21세기 수학을 이끌어갈 핵심2021-02-25READ MORE 연구성과 화공 조길원 교수팀, 손보다 뛰어난 감각을 가진 ‘전자 피부’[POSTECH∙울산대 연구팀, 인간 손가락 모사해 인공 전자 피부 개발]‘상자 속 물건 맞추기’ 게임을 해본 적이 있는가? 인간의 손가락은 압력, 인장, 진동 등 다양한 종류의 자극을 민감하게 인지할 수 있다. 이는 손가락 피부 표면에 존재하는 지문이 외부 자극의 크기를 증폭시키고, 피부 내부에 분포된 다양한 종류의 감각수용체가 이를 감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간의 손보다 더 뛰어난 감각2021-02-23READ MORE 행사안내 Mar03융합대학원 런치타임 세미나 Feb102021 새내기 새로배움터 개최 Feb05과학기술 아이디어 공모전 ‘POST+TECH Solution’ Jan27‘제1회 POSTECH-YONSEI 성과확산 FESTA : 디지털 기반의 개방·공유 그리고 혁신’ 개 Dec02인공지능대학원 심포지엄 ‘코로나 이후 시대, 디지털 뉴딜의 중심 AI 인재양성’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