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테키안 타일형 리스트형 최신호 보기 지난호 보기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2024 183호 / POSTECH ESSAY 수학도 음악이나 미술과 같은 인간의 기본적인 두뇌활동이다 나는 어렸을 때부터 수학을 좋아했다. 아마도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러운 논리의 전개 과정에 이끌렸기 때문일 것이다. 당시에는 마땅히 혼자 놀 것도 없어서 수학 문제 풀기를 좋아했다. 집중해서 문제를 풀어냈을 때, 그 희열감을 즐겼던 것 같다. 요즘 말로 나에게 있어서는 그때 도파민이 터진 것이 아닐지 생각 2024-12-16119 2024 183호 / 알리미가 만난 사람 고병철 선배님과의 이야기 가치를 창출하는 것, 이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여러분은 대학 구성원의 스타트업 창업을 지원해 주는 기술지주 주식회사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나요? 근래 포스텍을 비롯한 여러 대학에서는 창업 지원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번 <알리미가 만난 사람>에서는 포스텍 산업공학과1를 졸업하고, 스타트 2024-12-1696 2024 183호 / 알턴십 소비자들의 취향을 저격할 수 있는 패션 디자인 패션과 AI의 만남, 디자이노블 안녕하세요, 포스테키안 구독자 여러분! 알리미가 교내외 유명 기업 및 연구실을 탐방하는 알턴십이 열네 번째 이야기를 가져왔습니다. AI 열풍이 불고 있는 요즘, 각종 매체에서 AI가 그림을 그려주는 것을 보셨을 수도 있을 텐데요. AI는 다양한 데이터를 학습하여 우리가 원하는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2024-12-1669 2024 183호 / 포커스 [고등학생 기자단 포커스 13기] 채민우 교수님을 만나다! 안녕하세요, 포커스 13기 부산일과학고등학교 추승준, 김지환입니다. 저희는 통계학, 데이터 과학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하고 계시는 산업경영공학과 채민우 교수님을 뵙고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그럼, 인터뷰 내용을 함께 살펴보실까요? Q. 교수님께서 하시는 연구와 연구실에 대해서 간략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A.저는 2024-12-16135 2024 183호 / 기획특집 ① / 이상 기후 이상 기후 여러분은 지구 기온 상승 마지노선 1.5도에 대해서 들어보셨나요?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약(COP21)에서 세계 195개 국가가 지구의 기온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도 이내로 제한하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는 기온 상승 폭이 1.5도를 넘을 경우 전례 없는 기후 위기를 2024-12-1663 2024 183호 / 기획특집 ➁ / 이상 기후 기획특집 ② 슈퍼 엘니뇨와 이상 기후 올해 전 세계적으로 이상 기후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특히, 전 지구 평균 기온이 평년보다 크게 상승하며 최고 기록을 경신하고 있는데요. 이러한 현상은 ‘슈퍼 엘니뇨(Super El Niño)’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엘니뇨(El Niño)는 열대 동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평소보다 높아지면서 전 세계의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자 2024-12-1646 2024 183호 / 기획특집 ③ / 이상 기후 기획특집 ③ 이상 기후에 대한 우리의 대처방안 꼭지 1과 2를 통해, 지구 온난화가 가속화되며 여러 가지 변화를 불러오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변화하는 기후 속에, 더욱 큰 피해를 보는 분야들이 있는데요. 대표적인 것이 바로 농업 분야입니다. 토양의 황폐화, 가뭄, 홍수 등 지구 온난화가 야기하는 다양한 문제들이 농업이라는 분야에 궤멸적인 피해를 주는 상황입니다. 이번 2024-12-1649 2024 183호 / HELLO NOBEL [2023 컴퓨터과학의 노벨상, 튜링상] 무작위성의 한계 탐구 및 새로운 가능성 Photo by Andrea Kane/Institute for Advanced Study https://bioengineer.org/avi-wigderson-receives-acm-a-m-turing-award-for-groundbreaking-insights-on-randomness/ 이번 2024-12-1654 2024 183호 / 최신 기술 소개 [휴대용 물 수집 기술] 그림 1. 수분 포집량과 에너지 효율증가를 위한 수분포집 사이클의 모식도 씻을 때도, 목이 마를 때도, 식물을 키울 때도 항상 필요한 물! 쓰다 보면 언젠가 부족할 수도 있지 않을까요? 세계자원연구소에 따르면 전 세계 인구의 1/4 이상이 거주하는 25개 국가가 물 부족 현상을 겪고 있습니다. 다행히도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새로운 수분 &h 2024-12-1698 2024 183호 / 포스텍 연구실 탐방기 포스텍 데이터 시스템 연구실 POSTECH Data Systems Lab DS(Data Systems)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빅 데이터를 처리하고 활용하는 시스템 및 응용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우리 연구실은 크게 세 가지 주제의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는 데이터 간의 관계를 노드와 엣지로 표현하는 프로퍼티 그래프를 다루는 Property Graph DBM 2024-12-1661 1234567891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 2023년 2023년 2022년 2021년 2020년 2019년 2018년 2017년 2016년 2015년 2014년 2013년 2012년 2011년 2010년 2024년 2023년 [180호] 주요 기사들 상온상압 초전도체 / 김성근 총장님과의 이야기 / 나르마 2023-12-120 2023년 [179호] 주요 기사들 마약-DRUGS / 2022 튜링상 /포스텍의일상을그려박서연 2023-08-210 2023년 [178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ChatGPT /알리미 온에어_알리미의 갓생 V-log /공대생이 보는 세상_공원 2023-05-090